top of page
'Earthing' 전막공연
한국-라오스 공동제작 프로젝트 의 2022년 라오스 초연에 이어 한국 초연(3회) 및 라오스 재공연(1회)을 진행하였다.
시나브로 가슴에 x 팡라오댄스컴퍼니(라오스)

2023 후속지원
'Welcome to Your Korea'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연
안은미컴퍼니와 4개국(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의 안무가가 해당 국가의 한국이주민과 함께 모국어로 소통하며 각각 15분 분량의 현대무용작품을 만들고 3일간 3회의 공연을 진행하였다.
안은미컴퍼니 x Dansity Dance Company(인도네시아)

2023 완성지원
가족뮤지컬 '트롤의 아이' 공연
2023년 뮤지컬 공동제작 협약체결을 통해 상호 역할과 의무를 정하고, 베트남 하노이에서 역사상 첫 공동제작 가족 뮤지컬를 선보였다.
문화공작소 상상마루 x 베트남청소년극장(베트남)

2023 완성지원
호추니엔의 〈시간을 위한 T(T for Time)〉 (2023) 영상 작품 프로덕션
아트선재센터는 싱가포르아트뮤지엄과 협력하여 호추니엔의 신작 영상 을 공동 프로덕션하였다. 시간의 다양한 층위를 다루는 이 작품은 2023년 11월 싱가포르아트뮤지엄의 호추니엔 개인전 를 통해 선보인다.
아트선재센터 x 싱가포르아트뮤지엄(싱가포르)

2023 완성지원
'에스크 더 마스크 프로젝트' - 리서치, 워크숍, 쇼케이스
'에스크 더 마스크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의 전통춤과 음악, 한국의 탈춤을 융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창작 공연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이다.
프로덕션 377 X 아궁 댄싱 센터

2023 기획지원
'코레이시아 프로젝트' - 워크숍 및 쇼케이스
코레이시아 프로젝트는 말레이시아 전통예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장르별 리서치(음악, 무용, 의상 등) 및 워크숍을 결과물로 기록하는 프로젝트다.
모던테이블 X Hands Percussion Malaysia

2023 기획지원
'마중물 프로젝트: 미래 연구소' - 워크숍 및 컨퍼런스
마중물 프로젝트는 공연예술 분야의 미래 세대인 신진 프로듀서들을 중심으로 국제 협업 프로젝트를 구상하기 위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한국의 공연예술 프로듀서 대상 국제교류 레지던시 프로그램이다.
신진 프로듀서 X 오거나이징 프로듀서

2023 기획지원
'한국-태국: 아시아 어린이를 위한 새로운 어린이연극축제 커넥션' 복사
한국과 태국 예술가 간 교류를 통해 어린이 연극의 역사와 국내외 동향을 리서치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주제와 형식의 어린이 연극 제작 및 축제를 개최하는 프로젝트이다.
칠더하기 7+ X 방콕국제어린이연극축제

2023 기획지원
'심해 춤판' - 온라인 워크숍 및 오프라인 포럼
심해 춤판은 한국과 베트남의 '언더그라운드 아트 씬'을 주제로 독립 예술 활동가 및 공간에 대한 심도 있는 비교 연구 프로젝트이다.
미술관옆집 X 헤리티지 스페이스

2023 기획지원
'When the World Stops Turning' - 죽음과 애도에 관한 예술적 리서치
예술의 공간 안에서 죽음을 애도, 추모, 기억, 기록하는 다양한 방식을 살펴보고 논의하기 위한 리서치사업으로서 현대 사회에서 벌어지는 죽음의 양상과 죽음을 다루는 과정의 변화를 고찰하며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생각하는 프로젝트이다.
한국-싱가포르 교류협력단 x Starch(싱가포르)

2023 기획지원
'Handshake' - 서커스 작품 프로덕션 리서치
한국과 캄보디아가 문화적 접점인 서커스 예술을 통해 협업하며 각국의 문화적 요소를 탐구 및 교류를 통해 예술로 하나가 되어 양 국가간의 지속적인 교류망을 구체화하고 국제 네트워킹을 확장하는 한-아세안 프로젝트
FORCE x Phare Ponleu Selpak(캄보디아)

2023 기획지원
2023 후속지원 프로젝트 개요
2023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 ‘후속지원’은 공연, 전시 등 완성 작품의 후속 성과 확산을 지원한다. 본 공연예술 프로젝트는 22년 완성지원에 이어 23년 후속지원에 선정되어 아세안 파트너(라오스)와의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시나브로 가슴에

2023 공동협력 프로젝트
2023 완성지원 프로젝트 개요
2023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 ‘완성지원’은 프로젝트 창‧제작을 지원한다. 2022년 기획지원 선정프로젝트 중 총 3건이 완성지원을 통해 기획단계의 프로젝트를 완성형 결과물로 대중에게 선보이고 국제교류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지속한다. 한국과 아세안 5개국(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의 파트너가 협력한 공연예술 2건, 시각예술 1건의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대우재단아트선재센터, 문화공작소상상마루, 안은미컴퍼니

2023 공동협력 프로젝트
2023 기획지원 프로젝트 개요
2023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 ‘기획지원’은 사전 리서치, 워크숍, 세미나 개최 등 프로젝트 개발 사전 단계를 지원한다. 총 7개의 국내 단체/기관이 아세안 5개국(말레이시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싱가포르)의 파트너와 협력하여 공연예술 5건, 시각예술 2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모던테이블, 미술관옆집, 칠더하기, 프로덕션377, 프로젝트 다리, 한국-싱가포르 교류협력단, FORCE

2023 공동협력 프로젝트
'Delivery' - VR영화 상영회 및 포럼
들꽃영화상운영위원회는 한-아세안 합작 단편 옴니버스 영화 'Delivery'의 홍보를 위한 트레일러 영상, 포스터 및 굿즈 제작, 상영기회 확보를 위한 국제영화제 출품, 아세안 문화원 전시 연계 VR 상영회와 포럼을 진행했다.
들꽃영화상 운영위원회

2022 후속지원
아세안 협력단체 인터뷰 - '라오스 전통과 현대의 교차로'
팡라오는 라오스의 전통문화와 현대문화의 기로에서 실험적인 무용을 창작하고 전승하는 최초의 무용단이다. 활동은 주로 강좌, 워크숍, 연수 등을 조직하고 라오스와 해외의 문화 행사, 축제, 프로젝트, 투어 등을 주최하며 무용을 선보이고 다양한 국내외 교류활동을 진행중에 있다.
팡라오 댄스컴퍼니

2022 완성지원
'Earthing' - 워크숍 및 댄스필름 제작
Earthing은 한국의 현대무용단체 ‘시나브로 가슴에’와 라오스의 유일무이한 컨템포러리 댄스 단체 ‘Fanglao Dance Company’의 공동제작 프로젝트다.
시나브로 가슴에 x 팡라오댄스컴퍼니(라오스)

2022 완성지원
'My Body : 몸의 기억' - 쇼케이스 및 공연
국제교류에 축적된 경험을 지닌 극단 노뜰-인도네시아 아궁댄싱센터 간 리서치+창작형 공동협력 프로젝트로서 ‘몸의 기억’을 주제로 한 실험적인 공연 창작을 도모한다.
극단 노뜰 x 아궁댄싱센터(인도네시아)

2022 완성지원
'탈 현지화 신드롬' - 워크숍
이 프로젝트는 정치적 거리감, 경제, 문화의 일방적 소통성을 해협처럼 사이에 두고 있는 한-아세안의 거리감을 의식하며, 현재 유행처럼 거론되는 탈식민주의의 예술적 맥락을 조금 더 자세히 짚어보고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바림 x 인덱스(인도네시아)

2022 기획지원
'호 추 니엔 비평사전: 동시대성과 지역성' - 심포지엄
동남아시아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호 추 니엔의 전략에서 출발한 이번 심포지엄는 동남아시아와 이를 구성하는 지역주의를 새롭게 상상할 것을 제안한다.
아트선재센터 x 싱가포르아트뮤지엄(싱가포르)

2022 기획지원
'트롤의 아이' - 워크숍 및 쇼케이스
여성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셀마 라겔뢰프'의 작품 를 원작으로 한국과 베트남의 공동 워크숍을 통해 현대 가족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재해석하고 문학적 가치를 무대에 구현하고자 한다.
문화공작소 상상마루 x 베트남청소년극장(베트남)

2022 기획지원
'Welcome to Your Korea' - 리서치 프로젝트
‘웰컴 투 유어 코리아’는 한국의 대표 현대무용단체인 안은미컴퍼니의 대표이자 예술감독 안은미가 주도하는 리서치 기반의 비전문가 대상 공연작업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족과 이주노동자에 관련된 프로젝트다.
안은미컴퍼니

2022 기획지원
2022 후속지원 프로젝트 개요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는 2021년 한-아세안 간 교류 활성화 및 협업 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국가 간 상생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획지원 – 완성지원 – 후속지원’ 의 단계별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간 문화예술 네트워크 확장 및 다양한 프로젝트의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후속지원’ 단계에서는 완성된 산출물에 대한 해외 파급력 및 유통 확대를 지원하며, 2022년에는 총 1건의 프로젝트가 선정되었다.
들꽃영화상 운영위원회

2022 공동협력 프로젝트
2022 기획지원 프로젝트 개요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는 2021년 한-아세안 간 교류 활성화 및 협업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국가 간 상생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획지원 – 완성지원 – 후속지원’ 의 단계별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간 문화예술 네트워크 확장 및 다양한 프로젝트의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기획지원’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창‧제작을 위한 사전 리서치 및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며, 2022년에는 총 4건의 프로젝트가 선정되었다.
상상마루, 아트선재센터, 바림, 안은미컴퍼니

2022 공동협력 프로젝트
2022 완성지원 프로젝트 개요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는 2021년 한-아세안 간 교류 활성화 및 협업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국가 간 상생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획지원 – 완성지원 – 후속지원’ 의 단계별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간 문화예술 네트워크 확장 및 다양한 프로젝트의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완성지원’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창‧제작을 지원하며, 2022년에는 총 2건의 프로젝트가 선정되었다.
극단 노뜰, 시나브로 가슴에

2022 공동협력 프로젝트
조각 정원 (Statue Garden)-아세안 7개국 공동 온라인 전시 프로젝트
프로젝트를 통해 제작된 신작은 아세안 도시 조각상들을 콜라주한 제3의 가상세계를 표현한 작품으로 모뉴먼트(monument)의 상징성과 의미를 인식하지 못하는 AI를 통해, 공공조각에 집단의 욕망이 어떻게 투사되어왔는지에 대한 독특한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작품제작 과정에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캄보디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7개국의 큐레이터와 아티스트 8인이 비대면으로 참여하였다.
아르테바

2021 공동협력 프로젝트
VR영화 공동제작 프로젝트 - Delivery
들꽃영화상 운영위원회는 ‘2021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 프로젝트 제작 지원’ 프로젝트로 '배달'을 모티브로 하여 필리핀, 말레이시아와 3개국 합작 영화를 제작하였다. 작품을 통해서는 배달의 의미를 상품을 통해 사람을 연결하는 서비스로 부터 삶의 중요한 순간을 함께하고 마주하는 아세안 각국의 삶의 풍경을 통해 복합적으로 확장하고자 했다.
들꽃영화상 운영위원회

2021 공동협력 프로젝트
퇴계 성학십도 VR 프로젝트
성학십도는 퇴계이황이 68세 되던 1568년에 선조에게 올린 상소문으로 퇴계의 사상이 집약되어있는 이른바 성리학의 결정체이다. 책 혹은 열 폭의 병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인(聖人)’이 되기 위한 공부법을 안내하는 10개의 그림으로 이루어져있다. 성학십도 전체는 총 1860자의 한자어와 동그라미, 네모의 도상으로 채워져 있다. 이들은 간결한 듯 보이지만 그 안에는 우주론, 심성론, 공부론 등 성리학의 사유와 정신이 고스란히 압축된, 고도로 집약된 사유체이다. 프로젝트는 성학십도 원문이 전하는 본래 메시지를 충실하게 유지하면서, 첨단기술의 도움을 받아 오늘날의 시대와 감성에 맞게 예술적으로 각색하는데 그 초점을 맞춘다. 감상자는 『성학십도』 열 개도(圖)를 보고, 듣고, 만지는 체험을 하며, 가상공간 안에서 형이상학적 세계를 이해하는 한편, 우주 생태적 웅장함을 느끼고, 자신의 소중함과 경건함을 되새길 수 있다.
연세대학교 X-Media Art 연구 센터

2021 공동협력 프로젝트

아카이브

2020년 시작된 문화혁신포럼과 2021년 시작된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아카이빙하고, 한-아세안 문화혁신 협력 사업에 참여한 문화예술 및 관련 산업 종사자, 유관기관의 다양한 자료를 수록한다.

2020년 시작된 문화혁신포럼과 2021년 시작된 문화혁신 공동협력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아카이빙하고, 한-아세안 문화혁신협력 프로젝트에 참여한 문화예술 및 관련 산업 종사자 및 유관기관의 다양한 자료를 수록한다.

bottom of page